카테고리 없음
[ADP 대비] 요약변수 vs 파생변수
specialscene
2020. 1. 12. 01:36
① 요약변수
- 수집된 정보를 분석에 맞게 종합(aggregate)한 변수
- 데이터 마트에서 가장 기본적인 변수
: 총구매 금액, 금액, 횟수, 구매여부 등 데이터 분석을 위해 반들어지는 변수
- 많은 모델을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어 재활용성이 높음
※ 단순 종합한 함수라는 느낌이 듦 - (예) 단어 빈도, 상품별 구매 금액, 상품별 구매 순서
② 파생변수
- 사용자(분석자)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거나 특정 함수에 의해 값을 만들어 의미를 부여한 변수
- 매우 주관적일 수 있으므로 논리적 타당성을 갖추어 개발해야함
- 세분화, 고객행동 예측, 캠페인 반응 예측에 매우 잘 활용
- 특정 상황에만 유의미하지 않게 대표성을 나타나게 할 필요가 있음
※ 주관적인 변수 느낌이 듦 - (예) 구매상품 다양성 변수, 주 활동 지역 변수, 주 구매 상품 변수
(표) 요약변수 vs 파생변수 사례
요약변수 | 파생변수 |
매장 이용 횟수 | 주 구매 매장 변수 |
구매상품 품목 갯수 | 구매상품 다양성 변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