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SPLIT
- 분포
- 결정계수
- pca
- 교차검증
- 유사도
- 분산분석
- DBSCAN
- k-means
- pig
- dict
- 딕셔너리
- DataFrame
- T-검정
- 병렬 쿼리 시스템
- 가설검정
- list
- 하둡
- join
- cross validation
- p-value
- distribution
- Python
- 다중공선성
- SQL on 하둡
- 밀도기반
- merge
- 데이터프레임
- Sawzall
- hive
- Today
- Total
one of a kind scene
ssh로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기 본문
[ip주소]
node-master : 192.168.219.113
node1 : 192.168.219.167
node2 : 192.168.56.114
[필수 설치 목록]
openssh-server : ssh server 및 client설치(서버가 없으면 다른 머신으로 접속 불가)
※ server만 설치하고 싶으면 ssh만 설치하면됨 sudo apt-get install ssh
scp : 머신간 파일 전송 가능하게 해줌
sudo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 scp
[keygen을 활용한 키생성 및 localhost 테스트]
아래 작업은 node-master 머신에서 실행한 것
ssh-keygen -t rsa
정상적을 실행됐다면 위와같은 화면을 볼 수 있음
(Overwrit (y/n)? 은 기존에 키가 있었기때문에 나온 것, 처음 생성한다면 이 경고문은 나오지 않음)
~/.ssh 경로로 들어가보면 위와같은 파일들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파일들에 대한 설명은 생활코딩에서 가져왔습니다(https://opentutorials.org/module/432/3742)
이중에서 public key인 id_rsa.pub를 authorized_keys에 등록해준다
cat $HOME/.ssh/id_rsa.pub >> $HOME/.ssh/authorized_keys
이렇게 public key를 등록해주면 localhost에 비번없이 바로 접속가능
= 머신1 -> 머신1에 바로 접속가능(즉, 자기 자신에 접속)
자기 자신에 접속할 일은 없겠지만 이 작업을 통해서 public key가 잘 등록됐는지 확인 가능
이제 node-master에서 생성한 public key를 다른 머신의 authorized_keys에 등록하면 다른 머신에서 node-master 접속 가능
[ssh 공개키 복사해오기]
1) scp를 활용한 방법 : 직관적으로 이해가 쉬움
형식 : scp [master의 id_rsa.pub위치] [slave1의 username@slave1의 hostname:slave1에 master의 id_rsa.pub을 옮겨둘 경로]
scp $HOME/.ssh/id_rsa.pub hadoop01@192.168.219.167:$HOME/임의의 폴더/id_rsa.pub
cat $HOME/임의의 폴더/id_rsa.pub >> $HOME/.ssh/authorized_keys
2) (추천) ssh-copy-id를 사용한 쉬운 방법
: master가 node1의 공개키를 가져오고 싶을때 master에서 다음 command를 입력한다
형식 : node1의 계정명@node1의 ip
ssh-copy-id hadoop01@192.168.219.167
[다른 머신의 ip 및 hostname 등록해서 활용하기]
sudo vim /etc/hosts
이렇게 hostname과 ip주소까지 등록해주면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다른 머신에 접속할 수 있다
ssh node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