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분산분석
- cross validation
- distribution
- 가설검정
- list
- SQL on 하둡
- DataFrame
- 분포
- 다중공선성
- 데이터프레임
- DBSCAN
- T-검정
- hive
- Sawzall
- pca
- pig
- dict
- k-means
- SPLIT
- join
- 하둡
- p-value
- 교차검증
- merge
- 밀도기반
- 병렬 쿼리 시스템
- Python
- 유사도
- 결정계수
- 딕셔너리
- Today
- Total
one of a kind scene
미분과 적분이란? 그리고 미분과 적분의 데이터 분석에서의 활용 본문
용어 정리 및 어원
- Calculus 어원
: 어원적으로 라틴어 calculus 는 '작은 돌( small stone ), 조약돌( pebble )'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돌을 계산을 할 때 사용해서 단어 calculate(계산하다)도 여기에서 유래됨
- 미적분 : Calculus
- 미분 : Differential Calculus, Differentiation
- (참고) 도함수 : Derivatives
- 적분 : Integral Calculus, Integration
수학적 표기법
- 미분(D, d) : Differential의 D를 의미
- 적분(∫) : 영문 대문자 S자를 길게 늘여뜨린 모양. Sum의 S를 의미
미분이란?
- 미분의 가장 정확한 표현은 순간변화율 이다.
- 적분의 반대말이 미분(정확히 말하면 부정적분이 미분과 반대말 관계)
- 비유적으로는 미분은 미세하게 쪼개는 것(적분은 쌓는 것)
- 아마도 순간변화율을 구하는 방법이 나누기라서 미분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고 함
(변화율이란?)
- 속도(력)는 시간에 대한 위치변화(이동거리)의 변화율이고, 중학교 때 배우는 직선의 기울기는 x값에 대한 y값의 변화율이다.
- 변화율을 말하려면 변화율의 기준이 되는 놈이 있어야 한다
미분의 종류
1) 미분의 기하학적 의미
- 공간에서 위치가 변함에 따라 (함수로 표현되는) 어떤 양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도구
- y=f(x) 위의 임의의 점 (x, y)에서의 접선의 기울기
2) 전미분(=일반적인 미분, total, total differnetial, D, d)
- y = f(x, y, z) 일때 x, y, z 각각으로 모두(total) 미분하는 걸 "전미분" 이라고 한다
- 아래 예제에서 fx, fy, fz, fw는 각각 x로, y로, z로, w로 미분한 값을 나타냄
- 각각을 편미분한 값을 괄호로 묶고 편미분한 변수(예 : dx)라는 표식을 붙여줌
- 즉, (2xy+z)dx는 x로 미분한 값이라는 것을 뜻함
3) 편미분(partial, partial differential, ∂)
- 편미분은 한쪽에 편중해서 미분하겠다라는 의미
- ∂y / ∂x1의 뜻은 분자에 있는 y를 분모에 있는 x1으로 미분했다는 의미
4) 변화량(delta, △, δ)
- △x 는 '델타엑스'라고 읽는다
- △x 는 어떤 구간에서의 x의 변화량을 나타낸다.
- 만일, x가 x1에서 x2로 값이 변했다면 △x = x2 - x1이다.
- dx는 △x를 무한히 작은 값으로 보낸 극한에서의 개념이다
미분의 Chain Rule(연쇄 법칙) : 합성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때 이용되는 법칙
1) 도함수(Derived Function)
- 미분을 한다 = 도함수를 구한다
- 도함수의 '도(導)'는 이도할/이끌 도 → 도함수는 미분하여 이끌어낸 함수라는 뜻
- 도함수는 어떤 함수를 미분하여 얻은 함수로, f(x)의 미분 계수라고도 함
2) 두 함수를 합성한 합성 함수의 도함수(derivative)에 관한 공식 → 합성 함수를 떠올리자
3) 오차 역전파(Backpropagation)에서 Chain Rule이 사용된다
- 오차 역전파의 목적은 Loss(오차, L)가 나왔을 때 Loss가 나오게끔 한 x의 weight를 구해서 Loss가 줄어들게 끔 weight 값을 update 하는 것
- (참고) 업데이트는 기울기가 작아지는(혹은 커지는) 방향으로 learning rate 만큼 움직여서 변화함
- ∂L / ∂x = 미분을 통해 Loss가 나오게끔 한 x의 weight를 구한다는 의미
- 이 과정에서 chain rule이 사용됨
미분의 최적화(Optimization) 활용
- 2차원 최적화(Otimization) 과정에서 최대/최소 값은 보통 기울기가 0인 지점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최대/최소 지점을 찾는 경우에도 미분이 사용됨
적분이란?
- 아래 그림에 나와있는 적분(∫) 식의 의미는 "x를 a부터 b까지 변화시키면서 f(x)에 dx를 곱한 것을 전부 합쳐라" 라는 의미
- dx는 △x를 무한히 작은 값으로 보낸 극한에서의 개념이다
- 예를 들어, 어떤 직사각형이 있고 이 직사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△x라 하자. 이제 이 직사각형을 세로방향으로 잘라서 둘로 나누자. 그럼 밑변의 길이가 △x/2가 된다. 그런데 이 사각형을 무한히 계속 나눈다면 하나의 기다란 선처럼 될 것이고, 이 선의 밑변의 길이는 0은 아니지만 0에 무한히 가까운 값이 될 것이다. 상상속에서만 존재하는 이 선의 밑변의 길이가 바로 dx이다. (편의상 dx를 길이라고 했지만 dx는 +, - 부호를 갖는 값이다. x가 증가하면 +, 감소하면 -이다. dx의 정확한 표현은 x의 순간변화량이다)
- 그렇다면, f(x)dx가 의미하는 것은 빨간색 선의 넓이.(면적)라는 것이다 (f(x)가 높이, dx가 밑변)
적분의 종류
1) 부정적분
- 미분해서 f(x)가 되는 함수를 f(x)의 부정적분이라 정의한다
- f(x) = 2의 부정적분은 F(x) = 2x + C (C는 임의의 상수)
2) 정적분
- 정적분은 어떤 정해진 구간에서 함수값을 미세하게 나누어 합친 값으로 적분(積分)의 한자 의미에 보다 가까운 말
- 부정적분이 하나의 함수인 반면에 정적분은 어떤 수치 또는 값임에 주의하자.
- 정적분 값을 곧이 곧대로 정의대로 구하지 않고 손쉽게 구하는 한 방법은 먼저 부정적분을 구한 후에 부정적분의 차를 이용해서 정적분 값을 계산하는 것
- 즉, 정적분을 계산하는데 부정적분이 활용된다
Reference
- Integral Definition
https://www.directknowledge.com/integral-definition/
- 오차 역전차
https://ratsgo.github.io/deep%20learning/2017/05/14/backprop/
- 미분 적분 제대로 알자
https://darkpgmr.tistory.com/45
- 미분과 적분의 유래
- 수학공식 영어로 읽기
- 미분의 종류
- 오차 역전파
https://ratsgo.github.io/deep%20learning/2017/05/14/backprop/
- 미분(differential)과 도함수(derivative)의 차이
'데이터 분석 이론 > 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평균의 종류(산술평균, 기하평균, 조화평균) (0) | 2020.03.23 |
---|